본문 바로가기

에릭슨최면과 심리치료10

관념 운동반응과 펜듈럼 기법 관념 운동반응과 펜듈럼 기법 : 에릭슨은 한 논문에서 손부양(hand levitation)과 관념 운동반응(ideomotor response) 기법을 알고 그것을 발전시키게 되었습니다. 관념 운동기법의 개념과 그에 대한 활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관념 운동반응의 개념 관념 운동반응은 우리가 주변의 각종 자극에 대해서 의지나 의식과는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보이는 반응을 말하며 다른 말로 관념 역동 반응(ideodynamic response)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의식 범위 밖에 있는 무의식적인 관념 또는 생각이 신체적 운동 반응을 일으켜 무의식의 정보가 신체 신호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자동적 반응은 많으며, 가장 흔하고 쉬운 자동적 반응의 예를 들자면, '그렇다'라고.. 2024. 2. 25.
에릭슨 최면의 응용 : 해결중심치료 1. 해결 중심치료 에릭슨은 실용성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이론이나 원리보다는 실제로 어떤 기법이나 방법이 임상현장이나 현실 생활에서 효과를 발휘하고 변화를 일으키느냐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즉, 그는 어떤 치료의 기법이나 방법이 실제의 문제 해결, 변화, 치료에서 얼마나 효과가 있을 것인지 또는 어떤 실제적인 결과를 유발할 것인지에 대해서 큰 관심을 가졌습니다. 에릭슨의 해결 중심적인 입장과 기법을 바탕으로 하여 여러 제자에 의해서 다양한 해결 중심치료법이 개발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 드 셰이저의 해결 중심치료와 오핸런의 해결 중심최면을 꼽을 수 있습니다. 2. 드 셰이저의 해결 중심치료 드 셰이저의 해결 중심치료는 기본적으로 에릭슨의 가치, 철학, 기술, 전략 등에 영향을 받았고 팰러앨토의 MRI에서.. 2024. 2. 24.
에릭슨 최면의 치료기법의 개념과 절차 에릭슨 최면의 치료기법의 개념과 절차 에릭슨 최면에서 치료 기법은 일종의 패턴 개입(pattern intervention)이라는 차원에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패턴 개입이란 견고한 사람들의 행동과 사고의 패턴에 개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행동과 사고의 패턴은 견고하게 구조화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견고하게 구성된 그러한 패턴도 패턴 개입을 통하여 변화 가능합니다. 그렇기에 패턴 개입이란 기존의 문제 되는 패턴에 개입하여 그것을 중단시키거나 변화시키며 궁극적으로는 치료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결국 패턴 개입이란 치료적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에릭슨 최면에서 그러한 변화를 위한 방법으로는 현재 패턴의 활용이라는 것이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에릭슨 최면에서 활용의.. 2024. 2. 22.
밀턴 모형 : 최면 화법의 종류 밀턴 모형 중 최면 화법 : 앞에서 우리는 밀턴 에릭슨이 즐겨 사용하는 최면적 화법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밀턴 모형의 구체적인 개념과 그 필요성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그것은 최면 유도와 변화 및 치료를 위한 유용한 화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제 밀턴 모형 최면 화법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마음 읽기(mind reading) 마음 읽기(mind reading)란 상담자가 마치 내담자의 생각과 감정을 잘 아는 것처럼 그에게 말하거나 자기가 생각하는 내담자의 생각이나 감정이 마치 시실인 것처럼 말하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이 마음읽기에 해당합니다. 당신도 잘 알고 있듯이 우리의 마음에는 무한한 잠재력이 있습니다. 당신은 지금 깊은.. 2024. 2. 21.